티스토리 뷰

2025년 1월부터 장애인연금 기초급여액이 인상되었습니다. 물가변동률 2.3%가 반영되어 월 최대 432,510원까지 받을 수 있게 되었는데요. 오늘은 장애인연금 대상부터 인상된 급여액, 신청방법, 주의사항까지 꼼꼼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장애인연금이란 무엇인가요?

장애인연금은 장애로 생활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생활안정과 복지 증진을 위해 정부에서 매월 지급하는 지원금입니다. 올해는 기초급여와 소득인정액 기준이 인상된 점을 꼭 확인하세요.

  • 기초급여: 월 최대 432,510원(물가상승률 2.3% 반영)
  • 소득인정액 기준: 단독가구 138만원, 부부가구 220만 8천원 이하

2025년 장애인연금 대상자 조건 확인하기

장애인연금을 받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만 18세 이상의 중증장애인(장애등급 1급, 2급 또는 3급 중복)
  • 소득인정액 기준: 단독가구 138만원 이하, 부부가구 220.8만원 이하

 

올해 약 35만 명이 혜택을 받을 예정입니다.

장애인연금 지급액 자세히 살펴보기

장애인연금은 기초급여와 부가급여를 합쳐 지급됩니다. 지급액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.

구분 기초급여 부가급여 총지급액
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(재가) 342,510원 90,000원 432,510원
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(시설) 342,510원 - 342,510원
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, 차상위 342,510원 80,000원 422,510원
차상위 초과 342,510원 30,000원 372,510원
  • 65세 이상은 기초급여가 기초연금으로 전환됩니다.
  • 경증장애인은 월 6만원, 장애아동은 최대 월 22만원 수령 가능합니다.

장애인연금 신청방법 완벽 가이드

장애인연금 신청방법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.

  • 방문 신청: 전국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
  • 온라인 신청: 복지로 홈페이지
    장애인연금 인상 연금 신청

신청 전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소득인정액 모의계산을 통해 대상 여부를 확인하세요.

장애인연금 신청 시 준비서류 목록

신청 시 준비해야 하는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신분증
  • 사회복지서비스 신청서
  • 소득재산 신고서
  •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
  • 통장사본
  • 주택정보 제공 동의서

대리 신청 시 추가로 위임장과 대리인의 신분증이 필요합니다.

2025년 장애인 복지제도 변화 추가 정보

  • 장애인 개인예산제 시범 운영(바우처 금액의 20% 자유 사용 가능)
  • 2026년 10월부터 가족이 중증장애인을 돌볼 경우 활동지원급 한시적 지급 예정

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이 확대되고 있으니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보세요. 오늘 안내해드린 장애인연금 정보를 활용하여 혜택을 빠짐없이 받으시길 바랍니다. 행복하고 건강한 한 해 보내세요!